저축성보험 가입전 <공제금액공시> 확인하기
저축성보험 가입전 <공제금액공시> 확인하기
많은 사람들이 저축성보험에 가입할 경우 본인이 매월 납입하는 보험료 전액이 적립(또는 투자)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
하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저축성보험에 납입된 보험료 중에서 각종 비용과 수수료, 사망보장을 위한 위험보혐료 등이 차감된 금액만 적립(또는 투자)되기 때문이다.
이렇게 빠져나가는 적립보험료는 보험상품마다 다르나 대략 월 납입보험료의 85~95% 수준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같은 저축성보험의 특징 때문에 은행의 예·적금과 달리 가입 초기(10년 이내)에는 납입보험료 대비 만기 또는 해지시점에 돌려받는 금액인 환급률이 상대적으로 낮을 수 밖에 없다.
▲저축성보험 공제금액 공시(예시) : 기준 : 가입금액 1천만원, 남자 40세, 기본보험료 월 20만원
따라서 노후자금 마련 등을 위해 장기적으로 유지할 계획이 아니라면 저축성보험은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저축성보험에서 빠져나가는 각종 비용·수수료 등은 보험을 가입할 때 제공되는 상품설명서의 <공제금액 공시>를 확인하면 된다.
따라서 저축성 보험을 가입하기 전 <공제금액 공시>를 확인한 후 본인이 부담하는 비용, 수수료 등을 정확히 인지하고 저축성보험 가입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현명하다.
또한 홈페이지에서 판매하는 온라인 저축성보험에 가입할 경우 공제되는 비용과 수수료가 낮고, 중도에 해지할 경우 해지환급금이 높을 수 있으므로 <보험다모아>(☞)나 <생명보험협회 공시실 (상품비교공시)>(☞)을 통해 환급률 등을 비교해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료출처 : 금융감독원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