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되는 정보/금융정보

저축은행에서 대출받기 전 반드시 먼저해야 할일

etaxnews 2018. 9. 6. 06:30
반응형

저축은행에서 대출받기 전 반드시 먼저해야 할일



저축은행에서 신용대출을 받으려면 가장 먼저 저축은행간 금리와 서민금융상품 대상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저축은행 신용대출에 대한 주요내용을 문답형식으로 정리했다. (금융감독원 자료 참조)


 Q1  저축은행에서 신용대출받기 전 사전에 금리를 비교해봐야 하는 이유는?

 

저축은행에서 개인신용대출을 받고자 하는 이용자는 급전이 필요하거나 또는 신용이 낮아서 대출이 거절될것을 우려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평상시 광고 등을 통해 익숙한 저축은행에 연락해보거나 또는 대출모집인에게 문의하여 상담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저축은행 사이에도 대출금리의 차이가 크다. 차이가 나는 이유 중의 하나는 과도한 광고나 대출모집인 영업으로 이에 소요되는 비용이 대출금리에 반영되기 때문이다. 


 Q2  구체적으로 저축은행간 대출금리 차이는 얼마정도 되는가?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2018년 7월중 각 저축은행의 신용 7등급의 신규 개인신용대출 평균금리를 비교교해 봤더니 최대 6.59%p의 금리차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18년 1분기 중 저축은행의 가계신용대출 모집수수료는 대출액의 평균 3.7% 수준이고, 2018.상반기중 광고비 상위 5개사의 광고비용은 이자수익의 3.9% 수준으로 저축은행(79개사) 평균 1.9% 보다 2.0%p 높다.



 Q3  저축은행의 가계신용대출 금리비교 공시는 어떻게 하나?


금융감독원의 파인 홈페이지()에서 ‘(공통)금융상품 한 눈에’ 또는 저축은행중앙회()의 금리공시자료를 조회하여 전월 기준으로 평균 금리가 낮은 저축은행에서 대출을 상담받는 것이 좋다. 



 Q4  대출상담을 받으면 신용상의 불이익은 없나?


저축은행과 대출상담 과정에서 신용조회회사(CB사)의 개인신용등급을 반복적으로 조회하더라도 신용등급 하락 등의 불이익이 없다.



 Q5  내게 맞는 서민금융 지원제도는 어떻게 확인하는가?


정부가 운영중인 저소득 자영업자, 사회초년생인 대학생·청년 등을 위해 다양한 서민금융 지원제도를 찾기 위해서는 금융감독원 파인 홈페이지(fine.fss.or.kr)에서 <(서민·중소기업) 서민금융1332>를 클릭해 <내게 맞는 제도안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전화로 상담받기를 원한다면 서민금융통합콜센터로 국번없이‘1397’로 연락해된다. 이 밖에 가까운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를 직접 방문해도 된다. 

관련글 참조 : 햇살론·미소금융 등 주요 서민금융상품 간략하게 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