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귀속 연말정산…‘연말정산 미리보기’로 연말정산 예상세액 미리알기
2018귀속 연말정산…‘연말정산 미리보기’로 연말정산 예상세액 미리알기
2018년 귀속 연말정산 시즌을 대비해 국세청이 근로자가 연말정산 절세계획을 미리 수립할 수 있도록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를 11월 6일부터 시작했다.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는 미리 채워진 지난해 신고된 금액을 수정할 수 있게끔 설정되었다.
특히 신용카드의 경우에는 올해 9월까지 사용한 실제 신용카드 분을 반영해 본인이 12월말까지 지출을 어떤 수단으로 해야할지 도와준다.
당연히 올해부터 바뀌는 개정세법이 반영될 뿐만 아니라 계산된 예상세액을 토대로 ‘맞춤형 절세 도움말과 유의사항, 과거 3년간 세부담 증감 추이, 실효세율(실제 세부담률) 등을 도표와 그래프로 보여준다.
<연말정산 미리보기>는 국세청홈텍스에서 회원인 경우 공인인증서로 바로 접속하면 된다.
비회원도 성명과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후 공인인증서로 접속하고 비회원 전용화면 메뉴에서 연말정산 간소화 > 연말정산 미리보기를 선택한다.
다음은 <연말정산 미리보기>의 화면설명이다.
초기화면
연말정산 미리보기의 서비스 내용, 입력할 내용, 유의사항 등을 안내하는 화면으로 (Step 1) → (Step 2) → (Step 3)으로 이동하면 예상세액, 절세 도움말(Tip)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최근 3년 사이(2015년~2017년)에 연간 2개 이상 사업장에서 근무한 경우에는 ‘근무처선택’ 화면이 팝업창으로 나타나며, 선택한 근무처의 연말정산 신고 내용을 기준으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Step 1> 신용카드 소득공제액 계산하기
국세청에서는 1월~9월분 신용카드 등 사용금액 데이터를 신용카드사로부터 수집하여 각 근로자에게 제공하며, 근로자가 10월~12월 사용 예정 신용카드 금액과 총급여액을 추가로 입력하면 소득공제 금액과 예상 세액이 자동 계산된다.
제공 동의를 받지 않은 부양가족의 1월 ~ 9월까지의 신용카드 등 사용금액은 ‘연말정산 간소화’에서 자료제공 동의를 받아야 확인할 수 있다.
처리순서는 다음과 같다. ① 2017년 지급명세서 불러오기 → ② 근무기간 및 총급여액 수정 → ③올해 부양가족 추가 또는 삭제 → ④ 신용카드 자료 불러오기 → ⑤ 10월~12월 신용카드 등 사용 예상금액 입력 → ⑥ 계산하기 → ⑦ 예상절감액 확인 → ⑧ 저장 → ⑨ 절세 도움말(Tip) 및 유의사항 조회 → ⑩ 과거 3년 현황 → (Step 2)로 가기
<Step 2> 연말정산 예상세액 계산하기
<Step 1>에서 입력한 내용이 자동 반영되며, 근로자가 올해의 부양가족 수, 각종 공제금액 등을 수정하면 개정 세법이 반영된 연말정산 예상세액이 산출된다. 각 항목은 지난해 연말정산 신고금액이 자동으로 채워진다.
처리순서는 다음과 같다. ① 올해 예상되는 총급여액 및 기납부세액으로 수정 → ② 소득공제의 해당 항목 입력․수정 → ③ 세액감면․공제의 해당 항목 입력․수정 → ④ 계산하기 선택 → ⑤ 저장 선택 → ⑥ (Step.03)으로 가기
공제금액 입력 및 정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 공제항목을 선택(공제항목 앞이 [+]인 경우에는 상세항목이 숨겨져 있으므로 이를 선택하면 상세항목이 펼쳐짐).
ⓑ 해당항목의 [+수정] 버튼을 선택하면 공제대상금액을 입력할 수 있는 팝업창이 표시됨(항목 명을 선택하면 상세설명이 오른쪽 Tab에 나타남).
ⓒ 공제대상금액 입력.
ⓓ [적용하기] 버튼을 선택하면 공제금액 등이 자동계산 되어 본 화면에 보여줌.
▲보장성 보험의 입력순서 예
처리결과는 다음과 같다.
ⓐ 소득․세액공제액에 대한 공제한도를 확인할 수 있음.
ⓑ 소득․세액공제액에 대한 한도미달액을 확인할 수 있음.
ⓒ ‘한도액 비교 그래프’를 선택하면 한도가 있는 공제금액에 대하여 공제금액과 한도금액을 그래프로 보여줌.
ⓓ ‘급여증감에 따른 공제한도(문턱) 변화보기’를 선택하면 총급여 크기에 따라 달라지는 공제문턱, 공제한도의 증감을 보여줌.
<Step 3> 항목별 절세 도움말(Tip) 및 3년간 추세 보기
<Step 2>에서 계산된 예상세액을 토대로 근로자 각자에 맞는 맞춤형 절세 도움말(Tip)과 유의 사항을 알려주고, 최근 3년간 연말정산 신고 내용 및 세부담에 대한 도표와 그래프를 제공하므로 세액 증감 추이와 원인 파악이 가능하다. 올해부터는 실제 부담한 세율(실효세율) 정보도 함께 제공한다.
조회결과 다음과 같은 내용을 안내받을 수 있다.
① ‘연말정산요약’ 화면은 (Step 2) 계산결과에 대한 연말정산요약, 연도별 현황, 공제항목별 현황을 표와 그래프로 보여준다.
② 금년부터는 명목세율뿐만 아니라, 각종 세액공제와 감면이 반영된 실제 부담 세율인 실효세율에 대한 정보도 함께 제공한다.
③ [인적공제], [신용카드 등], [교육비], [의료비], [주택자금], [연금저축], [보장성보험료], [기부금] 버튼을 선택하면 연도별 공제금액과 그래프를 보여준다.
④ Step 2 입력결과를 분석하여 절세 도움말(Tip)과 유의사항을 안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