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되는 정보/금융정보

<행복드림>포털 개시, 상품안전정보와 피해자구제 한번에

etaxnews 2017. 3. 22. 05:30
반응형

<행복드림>포털 개시, 상품안전정보와 피해자구제 한번에




공정거래위원회가 식품·공산품의 리콜 등의 정보부터 피해 구제신청까지 검색할 수 있는 <행복드림 열린소비자포털>을 3월 21일부터 개시했다. 



이번에 개시한 <행복드림 열린소비자포털>은 1단계로써 우선 식품·공산품의 리콜·인증(KC,친환경표지 등)정보, 축산물 이력정보, 병행수입상품 통관정보, 상품바코드 기본정보(규격, 원산지 등) 등 7개 기관의 상품정보 제공한다. 



1단계 상품정보 제공기관 7개


1-2. 국가기술표준원 : KC인증정보, 안전관리정보

3. 식품의약품안전처(통합식품정보서비스과) : 식품안전관리정보 

4. 관세청 : 병행수입상품통관정보 

5. 농림축산식품부 : 축산물이력정보 

6. 환경부(환경기술경제과) : 환경표지인증정보

7. 대한상공회의소 : 상품표준바코드정보



피해자 상담 및 구제신청은 한국소비자원을 포함하여 의약품안전관리원, 학교안전공제회 등 26개 기관 연결을 제공한다. 



1단계 피해구제 / 분쟁조정기관 26기관


8. 한국소비자원 :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

9.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 : 의약품부작용심의위원회

10.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 자율분쟁조정위원회

11. 학교안전공제중앙회 : 공제보상재심사위원회

12. 한국석유관리원 : 가짜석유신고센터

13. 새마을금고중앙회 : 공제분쟁조정심의위원회

14. 대한법률구조공단 : 법률상담센터

15. 질병관리본부 : 예방접종피해보상전문위원회

16. 특허청 : 위조상품제보센터 

17∼33. 17개 시도교육청 : 학교안전공제회 



화장품·의약품·자동차의 리콜·인증정보, 국외리콜정보, 금융상품정보 등 14개 기관의 안전정보와 의료·금융·주택 등 43개 피해구제기관 이용 등 2단계 사업은 내년부터 본격 개시될 예정이다. 



2단계 상품정보 제공기관 14개


1.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 농산물이력정보

2. 한국소비자원 : 국외회수정보

3. 환경부(화학물질정책과) : 생활화학제품 유해성분정보

4-5. 식품의약품안전처 : 의약품/화장품 및 의약외품 안전관리정보

6-7. 국토교통부 : 브이월드지도/자동차제작 결함정보

8. 해양수산부 : 수산물이력정보

9. 금융감독원 : 금융상품정보 

10. 의료기관평가인증원 : 의료기관서비스 인증정보

11. 농림축산검역본부 : 수입쇠고기 검역정보

12. 국립전파연구원 : 방통통신기자재 적합성평가등록정보

13. 한국관광협회중앙회 : 여행업자 공제회 가입여부 정보

14. SGI서울보증보험 : 여행업자 영업보증보험 가입여부 정보

15. 국토교통부 : 하자심사분쟁조정위원회



2단계 피해구제 / 분쟁조정기관 43기관


16. 국토교통부 : 중앙공동주택분쟁조정위원회

17. 환경부 :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

18. 한국인터넷진흥원 : 전자거래분쟁조정위원회

19. 한국콘텐츠진흥원 : 콘텐츠분쟁조정위원회 

20.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 : 의료분쟁조정위원회

21. 금융감독원 : 금융분쟁조정위원회

22. 방송통신위원회 : 방송통신위원회

23. 우정사업본부 : 우체국보험분쟁조정위원회

24-40. 17개 광역지자체 : 환경분쟁조정위원회

41∼57. 17개 광역지자체 : 소비생활센터



포털에서 ‘행복드림’을 검색하면 바로 이용할 수 있다.(consumer.go.kr)



※관련포스팅

<행복드림 열린소비자포털> 서비스내용 및 이용방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