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유용한 정보

대한민국명장 선정 제도와 직종개편안

etaxnews 2017. 5. 13. 11:58
반응형

대한민국명장 선정 제도와 직종개편안




고용노동부과 한국산업인력공단이 <대한민국명장 선정 및 운영체계 개편방안>을 5월 4일 마련했다. 


다음은 대한민국명장 선정제제도와 개편방안에 따른 직종 개편방침을 정리한 내용이다. 


대한민국명장 선정제도와 혜택


숙련기술의 습득‧향상을 촉진하고 숙련기술자에 대한 사회적 인식 제고와 산업경쟁력의 강화를 위해 시행하는 제도이다. 


산업현장에서 최고수준의 숙련기술을 보유한 기술자로서 숙련기술 발전 및 숙련기술자의 지위 향상에 크게 공헌한 사람을 선정한다. 


대한민국명장으로 선정되면 다음의 혜택이 주어진다. 

  • 대통령명의의 대한민국명장 증서‧휘장‧명장패 수여
  • 일시장려금(2천만원) 지급
  • 선정 후 동일직종 계속 종사 시 매년 계속종사장려금 지급(215만원~405만원) 등


대한민국명장 선정 현황


1986년부터 현재까지 기계, 전자, 보일러 등 22개 분야, 96개 직종에서 616명이 선정되었다. 


특히 기계, 재료, 화공, 전기, 전자 등 국가기간산업분야에서 401명(66.3%)을 배출함으로써 산업경쟁력 및 국가경쟁력을 높이는데 공헌했다. 




대한민국명장 선정자 활동 내용


  • 청소년 진로탐색의 기회 제공을 위한 직업진로지도사업에 강사로 참여(2015년도 65명)


  • 대한민국산업현장교수(2015년도 143명)로 참여하여 기술을 지원하는 등 중소기업에 대한 자생력 확보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해 노력


  • 지역농촌시설 보수‧점검 등 재능기부, 청소년 대상으로 명장과 함께 숙련기술을 직접 체험하는 “찾아가는 명장교실”, “명장아카데미” 등의 사회공헌활동


대한민국명장 직종 개편(안)

22개 분야 96개 직종을 37개 분야 97개 직종으로 개편하는 안을 추진중이다. 

[직종 통합] 직무범위가 유사하고 산업현장에서 단일직업으로 기능하지 않는 일부 직종의 경우 경력경로가 협소하여 중첩되므로, 유사직종을 통합하여 경력경로의 폭 확대



[직종 폐지] 최근 10년간 신청자가 없고, 산업수요 적은 종목은 폐지

  • 광산보안 : 최근 10년간 신청자 없고 산업수요가 절대적으로 적음
  • 포장 : 최근 10년간 신청자 없고 산업수요가 절대적으로 적음
  • 시추 : 최근 10년간 신청자 없고 산업수요가 절대적으로 적음
  • 물류관리 : 최근 5년간 신청자 없고 산업수요가 절대적으로 적음
  • 피아노조율 : 산업수요가 절대적으로 적음

[신규직종]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산업구조 변경 및 기능과 기술이 융합되는 분야(직종) 신설의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중장기인력수급전망(한국고용정보원, 2014)>에 따른 취업자 전망, ‘인력수요 조사자료(ISC)’ 및 설문조사 등을 참고하여, 산업수요 증가 및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직종을 신규직종으로 제시

  • 빅데이터, 디스플레이 : 디지털환경 발전에 따른 수요‧중요도 증가
  • 정보보안 : 지식산업화에 따른 정보보안 중요성 증가
  • 로보틱스, 가상현실(VR), 감성인식 증강현실(AR), 인공지능(AI) : 4차산업 발전에 따른 수요‧중요도 증가
  • 영상 : 영화산업 발전에 따른 수요‧중요도 증가
  • 나노기술 : 나노기술 발전에 따른 수요‧중요도 증가
  • 자동차튜닝 : 자동차튜닝산업 발전에 따른 수요‧중요도 증가
  • 검수‧검량 : 선박화물운송 증가로 수요‧중요도 증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