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1년 기준 중소기업은 771만개로 전체 기업의 99.9%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2021년은 직전연도(2020년) 대비 기업수(5.9%↑), 종사자수(3.9%↑), 매출액(12.8%↑) 모두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중소벤처기업부는 8월 24일 이같은 내용의 ‘2021년 기준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기본통계’를 공표했다.

 

2021년 기준 중소기업 기본통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소기업 일반 현황

728x90
  • 중소기업은 771만 4,000개로 전체 기업의 99.9%
  • 중소기업 종사자는 1,849만 3,000명으로 전체의 80.9%
  • 중소기업 매출액은 3,017조 1000억원으로 전체의 46.8%

 

2. 업종별 중소기업

  • 기업수 비중은 도・소매업 178만 6,000개(25.1%), 부동산업 127만 2,000개(16.5%), 숙박・음식점업 87만개 (11.3%) 순

업종별 중소기업 기업체 비중을 나타낸 다이어그램
▲업종별 중소기업 기업체 비중

  • 종사자수 비중은 도・소매업 362만 4,000명(19.6%), 제조업 338만 2,000명(18.3%), 건설업 188만 4000명(10.2%) 순

업종별 중소기업 종사자 비중을 나타낸 다이어그램
▲업종별 중소기업 종사자 비중

  • 매출액 비중은 도・소매업 1,035조 4,000억원(34.3%), 제조업 764조 4,000억원(25.3%), 건설업 329조 1,000억원(10.9%) 순

업종별 중소기업 매출액 비중을 나타낸 다이어그램
▲업종별 중소기업 매출액 비중

3. 지역별 중소기업 현황

  • 기업수는 수도권(서울,인천,경기) 소재 중소기업이 전국의 52.1% 차지. 이 중에서 경기도가 25.8%, 서울이 21.1%
  • 지방 비중은 부산, 경남, 경북 순

시도별 기업체 증감률을 나타낸 다이어그램
▲시도별 기업체 증감률 (단위 : %)

  • 종사자는 수도권 소재 중소기업 종사자가 전국의 54.3% 차지(1,004만 5,000명)

시도별 종사자 증감률을 나타낸 다이어그램
▲시도별 종사자 증감률 (단위 : %)

  • 수도권 소재 중소기업 매출액이 전국의 58.5% 차지(1,766조 1,000억원)

시도별 매출액 증감률을 나타낸 다이어그램
▲시도별 매출액 증감률 (단위 : %)

 

4. 조직형태별 중소기업

조직형태별 중소기업 비중을 나타낸 다이어그램
▲조직형태별 중소기업 비중

  • 기업수는 개인기업이 675만 9,000개(87.6%), 법인기업이 95만 5,000개(12.4% )
  • 개인기업 비중이 높은 업종은 보건・사회복지업(98.2%), 숙박・음식점업(98.2%), 협회・기타서비스업(97.9%)이며 비중이 낮은 업종 수도・하수・폐기업(47.8%), 광업(53.5%), 금융・보험업(55.0%)
  • 개인기업 종사자 비중은 56.9%(1,052만 8,000명), 법인기업 종사자 비중은 43.1%(796만 4,000명)
  • 개인기업 매출액 비중은 34.1%(1,028조 2,000억원), 법인기업 매출액 비중은 65.9%(1,989조원)

 

5. 업력별 중소기업

업력별 중소기업 비중을 나타낸 다이어그램
▲업력별 중소기업 비중

  • 업력 3년 이하 창업기업 비중은 35.6%, 3~7년 이하는 25.0%, 7년 초과는 39.4%
  • 3년 이하 창업기업 비중이 높은 업종은 전기・가스・증기업(54.8%), 정보통신업(47.5%), 예술・스포츠・여가업(45.3%)
  • 3년 이하 창업기업 비중이 낮은 업종은 광업(15.3%), 보건・사회복지업(18.4%), 제조업(22.9%)
  • 업력 3년 이하 창업기업의 종사자 비중은 24.0%(444만 4,000명), 3~7년 이하는 21.9%(405만 8,000명), 7년 초과는 54.0%(999만명)

 

6. 종사자규모별 중소기업

종사자규모별 중소기업 비중을 나타낸 다이어그램
▲종사자규모별 중소기업 비중

  • 1인기업 비중은 75.1%(579만 5,000개), 2인 이상은 24.9%(191만 9,000개)
  • 1인기업 비중이 높은 업종은 전기・가스・증기업(98.3%), 부동산업(94.1%), 운수업(92.9%)이며, 1인기업 비중이 낮은 업종은 보건・사회복지업(11.0%), 수도・하수・폐기업(39.7%), 제조업(47.7%)
  • 1인기업의 종사자 비중은 31.3%(579만 5,000명), 2인 이상은 68.7%(1,269만 7000명)
  • 1인기업의 매출액 비중은 16.1%(486조 9,000억원), 2인 이상은 83.9%(2,530조 2,000억원)

 

7. 매출액규모별 중소기업

매출액규모별 중소기업을 나타낸 다이어그램
▲매출액규모별 중소기업

  • 매출액규모별 중소기업수는 매출액 5,000만원 이하(55.0%), 1~5억원 이하(21.0%), 5,000만원~1억원 이하(12.8%) 순임
  • 매출액 5,000만원 이하 비중이 높은 업종은 전기・가스・증기업(92.0%), 부동산업(84.0%), 협회・기타서비스업(76.6%)
  • 매출액 5,000만원 이하 비중이 낮은 업종은 보건・사회복지업(10.5%), 수도・하수・폐기업(19.8%), 건설업(28.4%)
  • 매출액규모별 종사자는 10~100억원 이하가 26.6%(492만 5,000명)으로 가장 많고, 5,000만원 이하 25%(461만 6,000명), 1~5억원 이하 17.8%(330만명) 순
  • 매출액규모별 매출액은 10~100억원 이하 39.3%(1,185조원), 100억원 초과 35.3%(1,063조 9,000억원), 1~5억원 이하 12.1%(366조 3,000억원) 순

 

8. 대표자 연령별 중소기업

매출액규모별 중소기업을 나타낸 다이어그램
▲매출액규모별 중소기업

  • 대표자 연령별 중소기업수는 50대 28.6%(220만 4,000개), 60대 이상 28.4%(219만 2,000개), 40대(23.7%), 30대 13.5%(182만 8,000개), 30대 미만4.4%(33만 8,700개) 순
  • 대표자 연령별 종사자수는 50대 32.7%(605만 1,000명), 60대 이상 29.6%(548만 1,000명), 40대 23.2%(429만 5,000명), 30대 10.7%(197만 6500), 30대 미만 2.7%(49만 6,230명) 순
  • 대표자 연령별 매출액은 50대 36.1%(1,087조 8,000억원), 60대 이상 27.8%(837조 7,000억원), 40대 24.8%(747조 5,000억), 30대 8.9%(2,69만원), 30대 미만 1.5%(44만8000원) 순

 

9. 여성 중소기업

업종별 여성 중소기업 기업체 비중을 나타낸 다이어그램
▲업종별 여성 중소기업 기업체 비중

  • 여성 중소기업수는 313만 7,000개로 전체 중소기업의 40.7%
  • 여성 중소기업 종사자수는 528만 3,000명으로 전체 중소기업의 28.6%
  • 여성 중소기업 매출액은 564조 6,000억원으로 전체 중소기업의 18.7%

 

더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 참조 (2021년 기준 중소기업 기본통계)

2021년 기준 중소기업 기본통계(중소벤처기업부).hwp
1.52MB

(출처 = 중소벤처기업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