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세청의 <모바일 연말정산 서비스> 자세히 보기
국세청의 <모바일 연말정산 서비스> 자세히 보기
2017년 귀속 연말정산분부터는 모바일 연말정산 서비스는 정보 조회뿐만 아니라 연말정산 세액계산, 대화형 자기검증 등 다양한 콘텐츠가 제공된다.
제공되는 모바일 연말정산 서비스는 ▲자료제공동의신청 ▲연말정산 절세주머니 ▲대화형 자기검증 ▲연말정산간편계산기 ▲부양가족 없는 근로자 예상세액 ▲3개년 신고내역 조회 ▲기부금명세서 조회 등이다.
다음은 국세청이 제공하는 모바일 연말정산 서비스의 이용방법에 대한 실제 화면 내용이다.
자료제공 동의 신청
부양가족 등이 모바일을 통해 연말정산 간소화자료의 제공 동의를 신청할 수 있는 서비스로 본인인증이 필요하다. (2017년 7월부터 제공)
▲연말정산 제공 동의 신청
▲본인인증
▲자료조회자 입력
연말정산 절세주머니
각종 소득·세액 공제 항목별 공제 요건 및 방법 등 세법 해설과 절세팁, 유의할 사항 등을 안내해 준다. (2017년 11월부터 조회가능)
▲절세주머니 선택
▲조회할 항목 선택
▲항목에 대한 설명 조회
대화형 자기검증
소득·세액 공제요건을 문답 형식으로 제시하고 답변을 선택하면 공제 가능 여부 및 공제 요건 등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2018년 1월 중순부터)
▲공제항목 선택
▲질문에 대한 답변 선택
▲공제 가능 여부 확인
연말정산간편계산기
총급여, 소득․세액 공제, 기납부세액 등 세액계산에 필요한 항목을 직접 입력·수정하여 연말정산 세액을 계산해 준다. (2018년 1월 중순부터)
▲총급여 등 입력
▲공제금액 입력
▲세액계산 결과 조회
부양가족 없는 근로자 예상세액
부양가족 없는 근로자가 기본공제와 간소화 자료를 반영한 연말정산 예상세액을 확인 할 수 있다. 본인인증은 필수. (2018년 1월 중순부터)
▲총급여 등 입력
▲간소화 자료 선택
▲세액계산 결과 조회
3개년 신고내역 조회
2014~2016년 귀속 근로소득에 대해 신고한 총급여액, 결정세액, 기납부세액, 차감납부(환급)세액을 조회할 수 있다. 본인인증이 필요하다. (2017년 11월부터 서비스 제공)
▲3개년 신고내역 선택
▲공인인증서 로그인
▲신고내역 조회
기부금명세서 조회
2016년 귀속 기부금명세서를 조회하여 세액공제 대상 기부금 이월액을 확인할 수 있다. 역시 본인인증이 필요하다. (2018년 1월 중순부터)
▲공인인증서 로그인
▲기부금명세서 선택
▲기부금명세서 조회